본문 바로가기

공감하는

앞으로 전세가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 있는 지역은 어디일까? 🏡

300x250
300x250

전세가율(전세가/매매가 비율)이 앞으로 더 높아질 지역을 찾으려면, 매매가 정체 또는 하락, 전세 수요 증가, 신규 공급 부족, 지방·수도권 외곽 중소도시라는 공통점을 살펴야 합니다. 최근 시장 흐름과 전문가 분석을 바탕으로 유망 지역을 정리합니다.

1. 수도권 외곽 및 경기 북부: 동두천·의정부·양주·포천 등 🚆

  • 동두천: 2025년 기준 전세가율 89%로 전국 최고 수준.
  • 의정부·포천·양주: 전세가율 80% 이상, 매매가가 낮고 전세 수요 꾸준.
  • 특징: 수도권 외곽이지만 서울 접근성 개선(GTX 등) 기대, 매매가 정체 시 전세가율 추가 상승 가능.

2. 지방 중소도시: 논산·문경·나주 등 🏘️

  • 충남 논산, 경북 문경, 전남 나주: 전세가율 85% 이상.
  • 특징: 신축 공급 적고, 저렴한 주거지 수요 꾸준. 매매가가 더디게 오르면 전세가율이 높아질 여지 큼.

3. 서울·수도권 내 공급 부족 지역 및 저가 단지 📈

  • 서울 외곽(금천·성북·중랑·강북·관악 등): 이미 전세가율 55~60%에 근접, 신규 공급 적고 실수요가 꾸준.
  • 노원·성동·마포 등: 최근 갭투자 거래 증가, 전세가율 반등 조짐.
  • 특징: 매매가 급등이 멈추거나 조정될 경우, 전세가가 상대적으로 더 오르며 전세가율 상승 가능.

4. 신도시 및 교통 개발 호재 지역(초기 단계) 🚉

  • GTX-B, C노선 예정지(구리, 남양주, 의왕 등): 개발 기대감에 매매가가 정체되면 전세가율이 단기적으로 높아질 수 있음.
  • 입주 물량이 적은 신도시: 초기에는 전세 수요가 몰려 전세가율이 높아질 수 있음.

5. 기타: 공급과 수요의 미스매치가 예상되는 곳

  • 지방 광역시 중 공급 적고 인구 유입이 있는 곳: 울산, 창원 등 일부 지역은 매매가 하락세가 멈추고 전세 수요가 유지되면 전세가율 반등 가능.
  • 월세 전환이 더딘 지역: 월세화가 더딘 중소도시, 전세 선호가 높은 곳은 전세가율이 유지되거나 오를 수 있음.

결론 및 투자 시 유의점

  • 전세가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큰 곳: 수도권 외곽(경기 북부), 지방 중소도시, 서울 외곽 저가 단지, 공급 부족 지역.
  • 공통점: 매매가 정체, 신규 공급 부족, 전세 수요 꾸준.
  • 주의: 전세가율이 너무 높으면 매매가 하락 시 전세금 반환 리스크도 커지므로, 인구·수요·공급계획을 반드시 함께 체크해야 함.

요약:
앞으로 전세가율이 더 높아질 가능성이 큰 지역은 경기 동두천·의정부·양주 등 수도권 외곽, 논산·문경·나주 등 지방 중소도시, 서울 외곽 저가 단지, 공급 부족 신도시 등입니다. 이들 지역은 매매가가 정체되거나 전세 수요가 꾸준할 때 전세가율이 추가로 상승할 수 있습니다. 단, 투자 시에는 지역별 리스크와 시장 변동성을 반드시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300x250
300x25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