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알리오

헌법기관 선거관리위원회 사실상 친인척 중심 운영?

728x90
반응형

안녕하세요, 여러분! 최근 동아일보 단독 보도에 따르면 중앙선거관리위원회(선관위)의 친인척 채용 실태에 대해 더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감사원의 감사 결과로 밝혀진 충격적인 내용들, 보다 더한 사실을 함께 살펴볼까요? 😱

연합뉴스

📊 친인척 채용 현황 총정리

  1. 전체 적발 건수: 국힘의힘 조승환 의원실이 중앙선관위 제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총 878건의 규정 및 절차 위반
  2. 시도선관위 현황 (2013~2022년):
    • 총 167회 경력경쟁채용 중 662건 규정 위반
  3. 중앙선관위 현황 (2013~2023년):
    • 총 124회 경력채용 중 216건 규정·절차 위반
  4. 2023년 6월 기준 친인척 관계:
    • 총 33건 66명이 전·현직 직원과 친인척 관계
    • 내역: 부모-자녀 15건, 배우자 3건, 형제자매 9건, 3·4촌 6건
  5. 조사 대상:
    • 전체 직원 3,236명 중 339명만 가족관계 파악 동의
    • 실제 비율: 조사에 응한 5명 중 1명이 친인척!

🕵️ 주요 특혜 채용 사례

  1. 김세환 전 중앙선관위 사무총장 아들:
    • 2020년 1월 인천선관위 경력 채용으로 입사
    • 선발 인원 증원, 전보 제한 미적용 등 특혜 제공
  2. 송봉섭 전 사무차장 딸:
    • 2018년 1월 충북선관위 채용
    • 직접 채용 청탁, 비(非)다수경쟁채용 실시

😳 충격적인 내부 발언들

  • "우리는 가족 회사"
  • "친인척을 채용하는 전통이 있다"
  • "선거만 잘 치르면 된다"

🚨 은폐 및 허위보고 정황

  1. 2021년 12월 '선거관리위원회 부모·자녀 관계 직원 현황' 자료 작성
  2. 국회 요구 시 "별도로 관리하지 않는다"며 허위 자료 제출
  3. 개인정보 제공 미동의 직원 25명 존재로 인한 숫자 불일치 가능성 언급

💡 조승환 국회의원의 의견

조승환 국민의힘 의원은 이렇게 말했어요:

"공명선거 관리를 맡고 있는 헌법기관이 사실상 친인척 중심으로 운영되고 있었던 것은 아닌지 우려스럽다"

 

💡 향후 과제

  1. 특별감사관 도입 검토
  2. 국민 신뢰 회복을 위한 대책 마련
  3. 더 철저한 조사와 투명한 정보 공개
  4. 채용 과정의 공정성 및 투명성 강화

여러분은 이 문제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선관위의 신뢰 회복을 위해 어떤 조치가 필요할까요? 댓글로 여러분의 의견을 들려주세요! 👇👇👇

 

#선관위 #친인척채용 #특혜채용 #공정성 #투명성 #국민신뢰 #정치이슈 #공직사회

 

728x90
반응형
LIST